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정월 대보름 -풍속,음식,놀이,액막이

by blueara 2025. 2. 11.

한국전통 정월대보름이네요

정월대보름에 대한 것을 적어봅니다

 

명절과 전통이 점점 약식화 되고 등한시 되어지는 것 같은 기우에..

오늘 저녁 오곡밥과 시래기 고사리 시금치...등

여러 나물과 부럼을 먹으며 한해를 다시 계획해 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한복을 입고 쥐불놀이와 강강술래도 하고 싶어지지 않나요?ㅎㅎ

 

정월대보름 정월 대보름(正月大-)은

정월(1월)의 보름날을 가리키는 말로, 음력 1월 15일에 해당하는 한국의 전통 명절입니다

설날 이후 처음 맞는 보름날로 '상원', 혹은 '오기일(烏忌日)'이라고도 합니다

대보름 전날인 음력 14일부터 행하는 여러 가지 풍속들이 있습니다

원래는 설날부터 대보름까지 15일 동안 축제일이었으며, 이 시기에는 빚 독촉도 하지 않는다는 말이 있었을 정도로

옛날에는 큰 축제였습니다

 

이 날에는 부럼, 오곡밥, 약밥, 귀밝이술,김과 취나물 같은 묵은 나물 및 제철 생선 등을 먹으며

한 해의 건강과 소원을 빕니다

 

예로부터 정월 대보름에는 한 해의 계획을 세웠는데, 이 과정에서 한 해의 운수를 점치기도 했습니다

풍속

 

대보름 전날 밤에는 아이들이 집집마다 밥을 얻으러 다녔습니다.

또한 이날 잠을 자면 눈썹이 하얗게 샌다고 믿었기 때문에 잠을 참으며 날을 샜습니다

잠을 참지 못하고 자는 아이들은 어른들이 몰래 눈썹에 쌀가루나 밀가루를 발라 놀려줍니다

 

아침이 되면 부럼깨기 및 귀밝이술 마시기를 시작하며, 새벽에 '용물뜨기'를 하거나 첫 우물을 떠서

거기에 찰밥을 띄우는 '복물뜨기'를 하였습니다

자정에 이르러서는 달집 태우기 및 쥐불놀이를 이어하며, 풍년을 비는 행사를 끝으로 대보름을 마무리 짓습니다

이날 개에게 먹이를 주면 여름철에 개에게 파리가 많이 꼬일 뿐만 아니라 개가 메마른다고 여겨서

대보름에는 하루 굶기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여기에서 즐거워야 할 명절이나 잔칫날을 즐기지 못 하는 사람을 가리켜 "개 보름 쇠듯"이라는 속담이 생기기도 했습니다

 

 

음식

 

부럼,오곡밥,각종 나물

1부럼

정월 대보름에는 만사형통과 무사태평을 기원하며 아침 일찍 부럼을 나이 수 만큼 깨물어 먹는 관습이 있습니다

이를 '부럼깨기'라고 하는데 부럼을 깨물면서 부스럼이 나지 않도록 비는 관습이 여전히 남은 것입니다

2오곡밥(찰밥)

쌀, 기장, 수수, 서리태, 적두를 섞은 풍년을 기원하는 잡곡밥.

왜 굳이 오곡밥이냐면 과거 가을 추수 때 가장 잘 자라던 곡식들을 모아 한 밥 공기에 담으니

다섯 가지의 곡식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했기 때문입니다

 

3진채

묵은 나물이라는 뜻.

구체적으로 박, 버섯, 콩, 순무, 무잎, 오이, 가지껍질 등을 가리키는데, 여름에 더위를 타지 말라고

해당 나물을 준비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보통은 열아홉 가지를 준비하지만 충분치 않다면 세 가지 정도로 줄이기도 합니다

4귀밝이술(이명주)

이른 아침에 부럼을 깨는 것과 동시에 찬 술을 마시는 관습.

이름처럼 귀가 밝아지고 귓병을 막아주며 1년간 좋은 소식만을 듣기를 바란다는 희망을 주기 위한 술입니다

술이긴 하지만 아이들에게도 주기도 합니다

5팥죽

정월 대보름에도 팥죽을 먹습니다

동지 때와 유사하게 악귀를 쫓아내기 위해 먹는 것이며, 오곡밥을 만들 때 있는 팥과 병행해서 만들 수도 있습니다

 

기풍

1보름달 훔쳐먹기

백가반이라 하여 14일 저녁 집집마다 다니면서 오곡밥을 훔쳐 먹는 풍습입니다

훔친 밥을 가지고 마을의 일정한 장소에 모여 함께 나누어 먹으며 즐겁게 시간을 보냅니다

2복토훔치기

3용알뜨기

4벼가릿대

5과일나무 시집보내기

 

달맞이

 

초저녁에 달을 맞이하는 행위.

보름달이 떴을 때 소원빌기

액막이

 

1더위팔기

남에게 더위를 파는 풍속.

 

아침 일찍 일어나서 친구나 이웃을 찾아가 이름을 부릅니다

이름을 불린 사람이 무심코 대답을 하면 "내 더위 사가라" 또는 "내 더위 네 더위 맞더위"라고 외칩니다

이러면 이름을 부른 사람의 더위가 대답한 사람에게 넘어가게 됩니다

반대로 더위를 팔려는 것을 눈치채고 대답 대신 "내 더위 사가라"라고 외치면

이름을 부른 사람이 오히려 더위를 사게 됩니다

 

2제웅직성

제웅이라는 짚 인형을 만들어 그 뱃속에 삼재 든 사람의 생년월 일시를 적은 종이와 동전을 넣고

삼거리에 버리면 액을 물리칠 수 있다고 여겼습니다

 

3 달집 태우기

대보름날 달이 뜰 때 모아놓은 짚단과 생소나무 가지를 묶어서 무더기로 쌓아올린 "달집"을 세운 다음,

불에 태워서 놀며 풍년을 기원하며 소원을 비는 풍습.

옛부터 풍년을 기원하는 풍속입니다

 

4동제

정월대보름의 대표적인 행사

동제는 마을의 평안과 풍요를 위하여 마을에서 섬기는 수호신에게 합동으로 올리는 공동의 제의로,

마을신앙의 행위적 표현입니다

 

5액막이 연

연을 날리다가 줄을 끊어 연이 멀리 날아가게 하는 의식

 

놀이

 

1다리밟기

2풍등

3석전

4낙화놀이

5쥐불놀이---달집 태우기

달집의 경우 보름달이 뜨기 시작하는 초저녁에 불을 붙이는데,

문을 동쪽으로 내야 한다는 관습이 있다.

6강강술래

7사자놀이

8줄다리기

9차전놀이

10쇠머리대기

11고싸움놀이

12지신밟기

달맞이

초저녁에 달을 맞이하는 행위. 보름달이 떴을 때 소원빌기

 

달이 정말 크고 밝게 떠있나요?

자~~그럼~~

소원을 빌어볼까요?